반응형
1. 금융의 중요성
- 다양한 금융 서비스
- 은행
- 신용 카드 회사
- 보험 회사
- 증권 회사 등 - 기존 금융 서비스의 문제
- 복잡한 절차
- 인증(KYC) 필요
- 불투명성
- 정보 비대칭(불법 고금리 등)
- 금융 계좌 x : 전세계 20억명
2. 탈중앙화 금융(DeFi, 디파이)
- 탈중앙화 거래소(DEX), 대출 서비스, 예측시장 등 다양한 서비스
- 투명성, 중간 관리자 불필요, 효율적
- 2020.8.19 기준
- DeFi 시장의 현재 규모: 7.5조원
- 2019년 8월 대비 성장률 : 1227%
- 2018년 8월 대비 성장률 : 2812% - DeFi = 금융 레고
- 특징은 결합성(Composability)
하나의 앱이 다른 앱의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하거나,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앱이 마치 하나처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의미
- 특징은 결합성(Composability)
3. 스테이블코인
-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코인
- CeFi(Centralized Finance, 중앙화 금융)
- 법정화폐 담보 : USDT, TUSD, USDC, PAX, Libra - DeFi
- 암호자산 담보 : DAI, BITUSD, sUSD
- 무담보 : Basis, Terra -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심하다
- 거래를 하거나 계약을 할 때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는 “화폐”가 중요
-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“현금” 사용은 어려움
-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
- 기관에 법정 화폐를 담보로 예치해두고 그 양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
- 장점
- 가치 유지가 쉬움 - 단점
- 투명성 부족
- 중앙화 리스크
- 실패한 스테이블 코인 – NuBits
- 암호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
- 스마트 컨트랙트에 암호화폐를 담보로 예치해두고 그 양에 해당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
- 장점
- 투명성
- 탈중앙화 - 단점
- 초과 담보
- 보통은 강제 청산이 필요
- 메이커다오(MakerDAO) 시스템
- Dai(DAI)
미국 달러의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- Maker(MKR)
Dai의 가치 안정화를 도와주는 거버넌스 토큰
- Dai(DAI)
- 다이(DAI)
- 미국 달러의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
- 암호자산 담보
- 스마트 컨트랙트에 암호화폐를 초과담보(150%+)로 예치해두고 Dai를 발행
- 유니세프, 코인베이스 등 다양한 사용처
- 신텍틱스(Synthetix) 시스템
- sUSD(SUSD)
미국 달러의 가치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- Synthetix Network Token(SNX)
담보물의 역할
- sUSD(SUSD)
- 실패한 스테이블코인 – bitUSD
-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
- 코인의 유통량을 조절하여 가치를 안정화
- 장점
- 담보가 없음 - 단점
- 연구 부족
- 법적 리스크 - 실패한 스테이블코인 -Basis
- 다양한 실험적 스테이블 코인
- Ampleforth, Yam 등 리베이스(Rebase)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
- Rebase란
일정한 가격을 기준으로(보통 1$) 공급을 바꾸면서 가치를 안정화 시키는 시스템
4. 탈중앙화 거래서(DEX)
- 기존 거래 방식(중앙화 거래소) – bitsum, upbit
- 장점
- 효율성
- 사용하기 편함 - 단점
- 불투명성
- 중간 관리자의 필요성
- KYC의 필요성
- 장점
- 탈중앙화 거래서 (DEX)
- 장점
- 투명성, 중간 관리자 불필요, 효율적
- 누구나 원하는 코인을 스스로 상장할 수 있다(Uniswap) - 단점
- 거래 수수료비 + 이더리움 가스비
- 느린 속도, 비교적 사용하기 어려움
- 다양한 리스크 (변동, 해킹 등)
- 장점
- Uniswap
현재 가장 빨리 성장하는 DEX- 유동성 공급자만 있으면 어떤 ERC20토큰이던 바로 상장 가능. 코인 트래킹 웹사이트 Coingecko에 올라간 코인만 보더라도 2000+
ex) 부동산을 토큰화한 RealT, 스스로를 토큰화한 Alex, 채굴형태로 분배한 YFI - 유동성 공급자는 수수료를 일부 받는다.
- 유동성 공급자만 있으면 어떤 ERC20토큰이던 바로 상장 가능. 코인 트래킹 웹사이트 Coingecko에 올라간 코인만 보더라도 2000+
- 풀(Pool) 방식
ex) 풀에 10USDC와 10A 코인이 있다면 1A=1USDC. 20 USDC 와 10A라면 1A=2USDC. - Sushiswap
나온지 한달만에 Uniswap보다 커진 Uniswap 포크(fork)버전- 유동성 공급자는 수수료+거버넌스 토큰인 Sushi를 받는다
- 풀(Pool)방식
- DEX Aggregator
DEX들이 왜 싸워야 돼? 다양한 DEX의 유동성을 모아서 사용해 유동성을 향상하고 거래의 슬리피지(Slippage)를 줄어준다. - 탈중앙화 거래소(DEX)의 리스크
5. 대출 서비스
- 기존 대출 서비스(중앙화)
- 장점
- 효율적
- 사용하기 편함 - 단점
- 불투명성
- 중간 관리자의 필요성
- KYC의 필요성
- 장점
- DeFi 대출/대차 서비스
- 장점
- 투명성, 중간 관리자 불필요, 효율적 - 단점
- 거래 수수료비 + 이더리움 가스비
- 느린 속도, 비교적 사용하기 어려움
- 다양한 리스크(변동성, 해킹 등)
- 장점
- Oasis Save : Dai Savings Rate
- Dai를 스테이킹하고 수수료비의 일부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음
ex) 만약에 100 Dai를 스테이킹하고 Saving Rate가 5%라면, 일년후에 105Dai가 됨
- Dai를 스테이킹하고 수수료비의 일부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음
- Compound Finance
- 장점
- 풍부한 유동성, 이자를 바로 받을 수 있음
- 대출/대차할 때 거버넌스 코인 COMP를 받음 - 단점
- 이자율 변동 리스크(공급과 수요에 따라 변동)
- 장점
- Avave
- 현재 가장 빨리 성장하는 렌딩 플랫폼
- 다양한 암호화폐 대출/대차 가능
- 고정 이자율 대출, 신뢰기반 대출, 플래시론(Flash loan)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
- Flash loan이란?
무담보로 빌리는 것. 빠르게 처리 가능할 때?
- dYdX
- 장점
- DEX연동, 마진 제공, 4배 레버리지까지 가능 - 단점
- 제한된 토큰종류, 이자율 변동, 대출/공매도는 28일로 제한
- 장점
- DeFi Portal & Others
- 다양한 대출/대차 서비스들을 쉽게 비교하고 전환하도록 도와준다
- instaDApp은 메이커다오와 Compound Finance와의 전환을 쉽게 한다.
- 만약 Compound Finance의 대출 이자가 낮으면 유저들이 원클릭으로 메이커다오에서 진행한 대출을 닫고 Compound Finance로 전환할 수 있게한다.
- DeFi Saver는 청산되려는 대출을 보호하는 서비스도 제공중이다.
- Furucombo는 유저들이 쉽게 플래시론등을 사용하게 하는 서비스도 제공중이다.
- DeFi 대출 서비스 리스크
- 해킹 당함
6. 추가 디파이 서비스
- 탈중화, 투명성, 공개된 코드 등으로 인하여 많은 서비스가 나온다.
- 보험 서비스
- Nexus Mutual은 시스템 해킹 등에 대해 보험을 제공해준다.
- Nexus Mutual과 yEarn의 협업으로 yinsure.finance에서 보험 상품을 토큰사듯이 쉽게 구매할 수 있다.
- Opyn은 이자의 일부를 가져가면서 보험을 제공해준다.
(보험 회사인데 해킹 당함)
- User Applications
- 모바일 앱 등을 통해 간단한 유저들이 DeFi 디앱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- Argent 월렛 같은 경우에는 지갑에 Dai가 있으면 옵션으로 Dai Savings Rate를 작동할 수 있다.
- Monolith는 암호화폐카드회사로 DeFi 디앱들과 연동해 유저들의 결제를 도와준다
- Zerion, Debank, Zapper등 디파이 트레커 -> 모아서 보기 쉽게 제공.
- 유용한 웹사이트
- Defipulse.com 디파이에 얼마 있는지 등 제공
- Loanscan.io
한 곳에 모아서 이자율, 서비스 등을 제공해주는 웹사이트
7. 디파이 커리어
- 디파이 시장은 2017~2019년부터 폭발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아직도 빠른 변화를 겪고 있다.
- 1인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과 국제기관까지 다양한 디파이 참여자들과 기회들이 있다.
- 하지만 문화 및 요구하는 배경들이 매우 다르다.
- DeFi 커리어 1 – 자유로운 영혼
- 장점
- 배경(학력, 경험) 무관, 성과주의, 심지어 익명
- 창의성 중심, 실험정신, High Risk High Return
- 높은 효율성. 1,2인 스타트업도 흔하다. - 단점
- 불확실성(“실험”을 하고 커뮤니티에 운영을 맡기는 것이 목적인 프로젝트들이 다수)
- 개발자 중심, 경영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.
- 장점
- DeFi 커리어 2 – 메어지 티파이
- 장점
- 배경(학력, 경험) 무관, 성과주의
- 창의성과 실용성의 균형, Medium Risk Medium Return
- 효율적, 프로젝트 리소스가 비교적 많다. - 단점
- 불확실성(“실험”을 하고 커뮤니티에 운영을 맡기는 것이 목적인 프로젝트들이 다수)
- 덜 자유로운 사내문화
- 장점
- DeFi 커리어 3 – 기존 기업(특히 대기업)
- 장점
- 안정적인 수입, 회사에서 리소스가 많다.
- 실용성 중심, Low Risk Low Return - 단점
- 프로젝트 진행 속도, 승진, 보너스 등이 느리거나 작을 수 있다.
- 덜 자유로운 사내문화
- 배경(학력, 경험)이 중요하다.
- 장점
- 디파이 커리어를 쌓고 싶다면?
- 뉴스 및 트위터를 자주 접하면 좋다.
- 다양한 디파이 프로젝트 커뮤니티에서 참여
- 글로벌 참여자들이 많기 때문에 영어능력 중요
-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업종을 뽑기에 자신과 맞는 역할을 하면 된다.
반응형
'Blockchain > 한국외대 IT 교육 프로그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UFS IT 플랫폼 구조 분석 (0) | 2020.09.12 |
---|